빙부 빙모 무슨 뜻?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빙부 빙모 무슨 뜻?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이번 글에서는 빙부 빙모 뜻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고 문자를 받았는데 '빙부상', '빙모상'이라는 단어를 보고 고개를 갸웃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실 텐데요. 

지금부터 빙부 빙모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은 얼마가 적당할지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빙부 빙모 뜻 무엇일까?

'빙부(聘父)'와 '빙모(聘母)'는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요. 아내의 부모님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즉, 빙부는 장인어른, 빙모는 장모님을 의미하는 것인데요.

'빙(聘)'이라는 한자가 '장가들다', '아내를 맞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요. 아내를 맞이하면서 생긴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뜻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사실 '빙부', '빙모'는 현대 사회에서 일상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긴 합니다.

평소에는 "장인어른", "장모님" 혹은 더 가깝게는 "아버님", "어머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죠.


그럼 빙부, 빙모와 같은 단어들은 언제 쓰이는 걸까요?

바로 부고(訃告)와 같이 공식적이고 예를 갖춰야 하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부고 문자에 'ㅇㅇㅇ님 빙부상', 'ㅇㅇㅇ님 빙모상'이라고 쓰인 것을 보신 적이 있을 텐데요.

이는 각각 '아내의 아버님께서 돌아가셨다', '아내의 어머님께서 돌아가셨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격식 있는 글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고인과의 관계를 명확하고 정중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지인의 빙부상, 빙모상 소식을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드는 고민은 아마 조의금 액수일 겁니다.

직접적인 부모님상은 아니지만 동료나 친구가 배우자의 부모님을 잃은 큰 슬픔을 겪고 있기에 예를 다해 위로를 전하는 것이 좋을 텐데요.

조의금에는 정해진 답이 없지만 어느정도 통용되는 일반적인 기준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역시 나와 상주의 관계가 얼마나 가까운가입니다.


먼저 평소 가깝게 지내는 직장 동료나 친구라면 장례식에 직접 참석하는 경우가 많을 텐데요.

이럴 때는 5만원에서 10만원 사이를 가장 많이 선택합니다.

최근 물가나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5만원이 기본적인 금액으로 여겨지며 관계가 더 돈독하고 마음을 더 표현하고 싶다면 10만원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단순히 얼굴만 아는 사이거나 사정상 직접 조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3만원에서 5만원을 생각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요즘은 3만원은 조금 성의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어 마음만 전달하는 경우라도 5만원으로 하는 추세가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가족처럼 아주 가깝게 지내는 절친한 사이라면 10만원 이상을 준비하여 깊은 위로의 마음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금액은 본인의 경제적 상황에 맞춰 15만원, 20만원 등으로 조절할 수 있겠죠?

중요한 것은 액수보다 슬픔을 진심으로 나누려는 마음가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조의금 봉투, 이것만은 기억하자

조의금 액수를 결정했다면 추가로 몇 가지 알아두면 좋은 점들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관례인데요.

조의금은 보통 3만원, 5만원, 7만원 등 홀수로 맞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음양오행 사상에 따라 홀수를 길한 숫자, 즉 양(陽)의 기운을 가진 숫자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그럼 10만원은 짝수인데 괜찮을까?" 하는 생각이 드실 수 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괜찮습니다. 10만원은 3과 7이 더해진 수로 보거나, '꽉 찬 수'라는 의미를 부여하여 홀수처럼 취급하기 때문에 예의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해요.

10만원 단위 이상부터는 15만원, 20만원, 30만원처럼 5만원, 10만원 단위로 맞춰서 내는 것이 일반적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숫자 '4'나 '9'는 죽음(死)이나 아홉수 등을 연상시켜 피하는 경향이 있으니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빙부 빙모 뜻, 그리고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액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건강보험 요양급여 내역서 발급 방법 (온라인, 오프라인) 정리

에스티로더 갈색병 면세점 구매 후기 사용법 (가품주의)

삼성생명 고객센터 상담원 연결 방법 (+지점 위치, 방문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