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부 빙모 무슨 뜻?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빙부 빙모 무슨 뜻?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이번 글에서는 빙부 빙모 뜻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고 문자를 받았는데 '빙부상', '빙모상'이라는 단어를 보고 고개를 갸웃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실 텐데요. 지금부터 빙부 빙모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은 얼마가 적당할지에 대해서도 한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빙부 빙모 뜻 무엇일까? '빙부(聘父)'와 '빙모(聘母)'는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인데요. 아내의 부모님을 높여 부르는 말 입니다. 즉, 빙부는 장인어른, 빙모는 장모님을 의미 하는 것인데요. '빙(聘)'이라는 한자가 '장가들다', '아내를 맞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요. 아내를 맞이하면서 생긴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뜻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사실 '빙부', '빙모'는 현대 사회에서 일상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긴 합니다. 평소에는 "장인어른", "장모님" 혹은 더 가깝게는 "아버님", "어머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죠. 그럼 빙부, 빙모와 같은 단어들은 언제 쓰이는 걸까요? 바로 부고(訃告)와 같이 공식적이고 예를 갖춰야 하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부고 문자에 'ㅇㅇㅇ님 빙부상', 'ㅇㅇㅇ님 빙모상'이라고 쓰인 것을 보신 적이 있을 텐데요. 이는 각각 '아내의 아버님께서 돌아가셨다', '아내의 어머님께서 돌아가셨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격식 있는 글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고인과의 관계를 명확하고 정중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빙부상 빙모상 조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지인의 빙부상, 빙모상 소식을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드는 고민은 아마 조의금 액수일 겁니다....